경기침체로 시장이 붕괴될 때 포트폴리오가 얼마나 견고하게 잘 버티는지는 제일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즉, 하방경직성(가격안정성)이 뛰어난 기업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Maximum Drawdown(이하 MDD)은 꼭 알아야 할 지표이다. 특히 장투를 위해 배당주를 선택하고 투자하였다면 더더욱이 알아야될 지표로 보인다. MDD는 전고점 대비 최대 하락비율을 의미한다. 시장은 길게 보면 상승하지만, 여러 이슈로 인해 단기적으로 가격이 하락하기도 한다. 직접 경험은 해보지 못했지만 90년대의 IMF와 2008년 금융위기(서브프라임모기지), 2012년 유럽 재정위기 등으로 인해 시장이 하락하였다. 최근에 코로나와 유가전쟁으로도 지수들이 30%넘게 빠져 시장이 무너지는 것은 직접 경험하면서 하방경직성이 좋은 기업..
SK는 1991년 설립되었고, 며천의 사명 변경(대한텔레콤 - SK C&C)으로 지금의 SK로 성장하였다. 이 외에도 우리에게 익숙한 SK이노베이션과, SK텔레콤 등을 주요사회사로 두고 있는 지주회사의 역할과 사업활동을 동시에 하는 사업형 지주회사이다. 1. 사업의 내용 SK는 직접 어떠한 사업활동을 함과 동시에 다른 회사를 지배하기 위하여 주식을 소유하는 사업형 지주회사로 2019년 말 기준 288개의 종속회사가 있다. 여기서 지주회사란 다른 회사의 주식을 소유한 회사이며 단순히 주식을 소유하는 것만이 아니라, 법적기준 이상의 해당회사의 주식(의결권)을 보유함으로써 그 회사에 대하여 실질적인 지배권을 취득하는 것을 사업의 목적으로 하는 회사를 말한다. 지주회사는 크게 순수지주회사와 사업지주회사로 구분할..
KT&G는 1987년 4월 1일자로 설립되었으며, 1989년 4월 1일자로 한국담배인삼공사법에 의한 주식회사 한국담배인삼공사로 변경되었고, 1997년 8월 28일자로 공포되고 1997년 10월 1일자로 시행된 "공기업의 경영구조개선 및 민영화에 관한 법률"에 의거 정부출자기관으로 전환됨과 동시에 상법에 의한 주식회사로 경영체제가 변경되었다. 이후 정부의 공기업 민영화 및 경영혁신계획 방침에 따라 1999년 1월 1일자로 홍삼사업을 분리하여 신설된 (주)한국인삼공사에 사업포괄 현물출자를 하였고, 2002년 12월 27일자로 상호를 주식회사 한국담배인삼공사에서 주식회사 KT&G로 변경하였다. KT&G는 1999년 10월 8일자로 상장하였다. 1. 사업의 내용 KT&G가 영위하고 있는 사업은 담배부문, 인삼부..
LG생활건강은 2001년 4월 LG화학에서 분할되어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화장품 및 생활용품 등을 제조, 판매하는 기업이다. 그리고 우리에게 익숙한 자회사로는 코카콜라음료와 해태에이치티비(해태음료), 더페이스샵 등이 있고 그 외로는 Ginza Stefany Inc.와 Everlife Co. 태극제약 등이 있다. ▶ LG지주회사 배당 알아보기 ▶ LG유플러스 배당 알아보기 ▶ LG화학 배당 알아보기 ▶ LG하우시스 배당 알아보기 ▶ LG전자 배당 알아보기 ▶ 실리콘웍스 배당 알아보기 1. 사업의 개요 LG생활건강은 화장품, 생활용품, 음료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국내 화장품 시장에서 2위, 생활용품 시장에서는 1위, 음료 시장에서 2위를 유지하고 있다. 화장품사업은 큰 성장 잠재력을 가진 미래 고부가가치 ..
*주식 매수/매도 추천아니며, 배당주 기록을 위한 포스팅입니다. * 한국기업평가의 자회사인 이크레더블의 분석 글 링크 참고하시면 됩니다. 한국기업평가는 1983년 12월 한국경영컨설팅(주)라는 이름으로 설립하여 사업성검토 및 기업진단 업무를 시작한 기업이다. 이후 1987년 11월 한국기업평가로 기업명을 변경하고 회사채 신용평가기관으로 지정되었다. 1999년 6월 한국산업은행의 주식매각으로 민영화가 된 이후, 2001년 Fitch Rating으로부터 외자유치를 받고 금융감독위원회로부터 신용평가업 본허가를 받았다. 2002년에는 한일시멘트가 한국기업평가의 지분을 취득하며 최대주주로 올랐었고 5년이 지난 2007년 4월 글로벌 신용평가사 Fitch Rating이 한국기업평가의 지분을 취득하여 최대주주가 되었..
* 주식 매수/매도 추천이 아니라 배당주 기록을 위한 포스팅입니다. 이크레더블은 2001년 8월 6일 신용조회사업 등을 주 영업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2010년 9월 신용정보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에 의거 금융위원회의 허가를 받아 기업신용정보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또한, 2005년 3월 한국기업평가 계열에 편입하고 2007년 5월 기업명을 이크레더블로 다시 변경(2004년 이크레더블 -> 한국기업인증)하였으며, 2008년 10월 24일에 코스닥에 상장한 기업이다. 1. 기업개요 이크레더블은 에 근거하여 신용정보를 수집/처리 및 신용정보주체의 신용도/신용거래능력 등을 나타내는 신용정보를 만들어 의뢰인의 조회에 따라 신용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영위하고 있으며, 회사와 종속회사별 사업분야는 다음과 같다. ..
* 본 글은 주식 매수/매도 추천글이 아닌, 공부한 배당기업에 대해 기록하기 위함입니다. 1. 사업의 내용 1991년 6월 27일 신용조사업을 영위하며 설립되었고 2998년 7월 24일 채권추심업을 허가받아 현재 채권추심 1등 기업으로 성장한 고려신용정보에 대해 알아보자. 고려신용정보은 채권추심과 신용조사, 민원대행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2018년 기준 영위하고 있는 사업들의 매출구조는 채권추심업 89.2%, 신용조사업 8.1%, 민원대행업 2.7%로 구성되었다. 채권추심업은 고려신용정보의 주력 사업부문으로써 용역매출이 전부를 차지한다. 따라서, 우수인력의 유지 및 확대가 매출신장의 주요 요인이다. 사업의 특성상 동종업계 채권추심 인력은 대부분 위임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인력의 공급에 선행한 채권물량의..
1. 개요 맥쿼리인프라의 정식이름은 맥쿼리한국인프라투융자회사(MKIF)이며, 기업명에서 알 수 있듯이 인프라스트럭쳐 기업이다. 즉 맥쿼리인프라는 고속도로 및 항만, 교량 등 사회간접자본에 대해 투자를 하고 수익을 거둬 이를 주주들에게 돌려주는 부동산투자회사이다. 맥쿼리인프라의 사업을 보면, 인프라자산을 운용하는 12개의 개별 사업시행법인에 투자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맥쿼리인프라 사이트에서 확인한 바에 따르면, 맥쿼리인프라의 투자의 하이라이트는 안정성과 성장성을 바탕으로 투자자에게 장기현금흐름 및 수익을 제공하는 것이다. 맥쿼리인프라의 자산은 도로자산 82%와 항만 18%로 이루어져 있다. 이는 특정 지역의 통행량과 특정 항만의 물동량이 맥쿼리인프라의 수익성을 결정한다는 의미이다. 그리고 맥쿼리인프라..
이 책은 배당투자를 시작한 5년 전쯤 읽었던 책으로 코로나와 유가전쟁으로 증시가 폭락하는 현재 상황에서 마인드를 잡기 위해 다시 읽어보았다. 배당투자를 직접 실천하게 해 준 책으로 배당투자에 대해 아주 간단하고 핵심적으로 잘 설명해주고 있다. 저자가 말하고 싶은 배당투자에 대한 내용은 크게 두가지 였다. 첫번째는 기본적 분석을 통해 그 기업이 블루칩인지 확인하는 것이다. 그리고 두번째는 배당이라는 기술적 분석을 통해 매수, 매도를 하는 것이다. 첫번째 기본적 분석을 하는 단계에서 해야할 일은 다음과 같다. 1. 과거 배당이 12년 동안 5배 이상 증가했는지 확인을 해야한다. 12년을 확인하는 이유는 단기간의 경기사이클인 4년 주기를 3번 겪어보면서 경기가 후퇴와 침체기인 상황에서도 꾸준히 배당을 지급했는..
글 제목의 완전한 문장은 "(불필요하게 지출되는 소비를 줄여) 매일 일세 혹은 배당받는 시스템 만들기" 이다. 많은 분들이 실망하셨을 수도 있지만 사실이고 필자도 실행하고 있다. 얼마전까지 매일 기록을 했지만 잠깐 멈추고 주단위 혹은 월단위로 절약일지를 작성중이다. 여기서 월세란 임차인(빌려쓰는 사람)이 집이나 방을 다달이 빌려쓰면서 임대인(빌려주는 사람)에게 지급하는 돈이다. 여기서 월세가 50만원경우 하루에 약 1.6만원의 일세가 생기는 것이다. 그리고 배당은 특정기업의 주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에게 그 소유의 지분에 따라 그 기업이 이윤을 현금이나 주식으로 분배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2019년에 삼성전자의 연간 배당금은 1,514원이었다. 만약에 삼성전자 주식을 365개를 들고 있었다면 연간..
SK 장동현 사장에게 177억 스톡옵션 부여했다. 스톡옵션이란, 주식매입선택권 및 주식매수선택권이라고 한다. 이 제도는 자사의 주식을 일정 한도 내에서 액면가 또는 시세보다 훨씬 낮은 가격으로 매입할 수 있는 권리를 해당 상대에게 부여한 뒤 일정기간이 지나면 임의대로 처분할 수 있는 권한까지 부여하는 것이다. 스톡옵션은 그 대상이 되는 임직원에게 함께 열심히 일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효과적인 능률급제도로 여겨짐으로써 현재 새로운 경영전략의 하나로 자리잡고 있다. 이 스톡옵션으로 2027년까지 좋은 성과낼 수 있는 SK가 되길 희망해본다.
2020 SK주식회사 주주서한 존경하는 주주 여러분. 먼저, SK주식회사에 대해 주주 여러분이 보내주신 지지와 신뢰에 대해 회사를 대표해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그 동안 SK주식회사는 그룹의 미래 성장동력을 발굴해 키우고, 투자회사의 성장과 발전을 이끌어가는 투자전문 지주회사로서, 적극적인 optimization 활동을 통해 포트폴리오 전체 가치를 극대화 해나가는 것을 경영의 최우선 목표로 삼아 왔습니다 . 에너지, ICT 영역으로부터 나오는 안정적인 수익 기반 위에 제약, 소재 등의 영역에서 새로운 성장동력을 축적해 왔고, 높은 성장 잠재력이 감지된 영역에서는 과감한 Seeding 투자를 단행하기도 했습니다. 2019년, 성장 사업에서의 실질적인 성과 창출 그 결과, 지난 해에는 다음과 같은 실질적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