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당주 투자를 해주시는 분들이 방문해주셔서 부족한 포스팅을 읽어주셔서 감사드리고, 앞으로도 주식투자에 필요한 포스팅을 열심히 공부해서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1. 자본주의 시스템 주식투자 여부와 상관없이 자본주의에 살고 있으면서 꼭 알아야 될 자본주의와 경제의 기본 상식 포스팅을 모아봤습니다. 앞으로도 공부하고 포스팅하는 경제와 자본주의 시스템에 대해서는 이 곳에 업로드 하겠습니다. 레이달리오 - 경제는 어떻게 움직이는가?(How the Economic Machine Works) 기축통화의 역사(미국이 외환위기를 겪지 않는 이유) 레이달리오 - 0% 금리가 시사하는 점 EBS 다큐프라임 자본주의 1부 - 돈은 빚이다. EBS 다큐프라임 자본주의 2부 - 소비는 감정이다. EBS 다큐프라임..
글 제목의 완전한 문장은 "(불필요하게 지출되는 소비를 줄여) 매일 일세 혹은 배당받는 시스템 만들기" 이다. 많은 분들이 실망하셨을 수도 있지만 사실이고 필자도 실행하고 있다. 얼마전까지 매일 기록을 했지만 잠깐 멈추고 주단위 혹은 월단위로 절약일지를 작성중이다. 여기서 월세란 임차인(빌려쓰는 사람)이 집이나 방을 다달이 빌려쓰면서 임대인(빌려주는 사람)에게 지급하는 돈이다. 여기서 월세가 50만원경우 하루에 약 1.6만원의 일세가 생기는 것이다. 그리고 배당은 특정기업의 주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에게 그 소유의 지분에 따라 그 기업이 이윤을 현금이나 주식으로 분배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2019년에 삼성전자의 연간 배당금은 1,514원이었다. 만약에 삼성전자 주식을 365개를 들고 있었다면 연간..
한국에 고령화가 빨라지면서 65세 이상 고령인구가 처음으로 800만명을 돌파했다. 연령별 인구추이를 보면 어린이 인구는 줄어들고, 고령 인구는 급속하게 늘어나면서 고령화 추세가 확연해지고 있다. 저출산으로 인한 고령화와 저금리로 인한 저축의 비효율성, 저성장으로 인한 근로소득 증가의 한계로 노후를 위한 재테크는 필수인 시대가 왔다. 80년대와 같이 20%가 넘는 저축이자는 더 이상 불가능하고, 5%짜리 1년 만기형 적금의 실제 이자율은 3%도 되지 않는 상황에서 2030세대에게 저축은 노후준비를 위해 비효율적인 재테크 수단이 되버렸다. 여기에 국민이 낸 세금과 국민연금, 산재보험, 건강보험 등 사회보장성 기금을 합한 금액이 국내총생산(GDP)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하는 국민부담률이 점점 늘어나는 추세를..